녹내장은 실명을 유발할 수 있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하지만 녹내장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녹내장 증상, 예방법, 치료 방법, 수술비용, 조기 검진의 필요성까지 한 눈에 정리해 봤습니다.
녹내장이란
녹내장은 눈 속의 안압이 높아져 시신경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손상된 시신경은 회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더 나아지지 않고 시야가 점점 좁아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진행성 실명 질환 중 하나로 40대 이후 발병률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가족력이나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사람은 특히 녹내장을 주의해야 합니다.
녹내장 주요 증상
녹내장은 '조용한 시력 도둑'이라고 불릴 만큼 증상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경미한 이상 신호는 녹내장 징후일 수 있으니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녹내장 예방 방법
녹내장은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예방과 조기 진단이 핵심입니다.
- 정기적인 안과 검진 : 40대 이상은 최소 연 1회 방문이 필요합니다. 이상 징후가 조금이라도 있을 경우 6개월마다 정기적으로 검진하여 추적 관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흡연 및 과도한 음주 줄이기 : 흡연이나 과도한 음주는 눈에도 굉장히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혈압 및 혈당 조절 (당뇨 및 고혈압 환자 주의) : 체중 관리가 필요하며, 안압이 높아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 충분한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
- 눈에 무리를 주는 행동 피하기 : 스마트폰을 볼 때에도 눈에 압력이 가도록 눈보다 핸드폰을 위로 두고 사용해야 하며, 안구건조증 예방을 위해 꾸준히 안약을 넣어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녹내장 치료 방법
녹내장은 진행을 멈추거나 늦추는 것이 목표입니다.
1. 약물 치료
- 안압을 낮추는 안약을 사용하며, 평생 사용이 필요
- 복용 부작용은 거의 없으나, 정기적으로 안과에 방문하여 체크하는 것이 필요
2. 레이저 치료
- 섬유주 절개술, 레이저 섬유주성형술 등
- 안약으로 조절이 안 되는 경우에 사용
3. 수술 치료
- 섬유주절제술 등 안압을 물리적으로 낮추는 수술
- 녹내장 진행 속도가 빠르거나 약물 반응이 거의 없는 경우에 시행
녹내장 수술 비용
녹내장 수술은 보험 급여 대상으로 본인 부담금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검사 및 진단에는 3~5만원, 약물 치료는 보험 적용 시 월 1~2만원을 지불해야 합니다. 레이저 치료는 10~20만원, 수술 치료는 30~50만 원대입니다. 병원이나 수술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내원하는 병원에서 정확한 비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녹내장 조기 검진이 중요한 이유
녹내장은 치료보다는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한 번 손상된 시야는 회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야가 손실되기 전에 발견을 하고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특히 가족력, 고혈압, 당뇨가 있는 사람은 40세 이전이라도 검진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합니다.
제 경우에도 안압이 높은 편이라서 정기적으로 안과를 다니면서 안약을 투여하고 있는데요. 건강검진을 통해서 징후가 발견되거나 위에서 공유드린 이상 징후가 있는 경우라면 반드시 병원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아봐야 합니다.
FAQ
Q. 녹내장은 안약만으로 관리가 가능한가요?
- 초기에는 대부분 안약으로 조절이 가능하지만, 진행 시에는 레이저나 수술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Q. 시야 손실은 회복되나요?
- 한 번 손상된 시신경은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필요합니다.
Q. 녹내장은 유전되나요?
- 가족력이 있는 경우엔 발병 위험이 3~5배 높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녹내장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사전에 발견하고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눈에 이상이 없다 하더라도 안과에 방문해보는 것을 권고드립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목땀띠 증상 관리 방법 연고 수딩젤 (1) | 2025.07.06 |
---|---|
더위 먹었을 때 대처 방법 약 음식 증상 병원 정리 (2) | 2025.07.02 |
술먹고 약 먹으면 부작용, 몇시간 뒤에 복용? (0) | 2025.06.25 |
면역력 높이는 방법 음식 영양제 운동 정리 (0) | 2025.06.23 |
일본뇌염 증상 예방접종 접종열 생백신 사백신 (1) | 2025.06.20 |
댓글